32 minute read

본 포스트는 머신러닝에 필요한 선형대수 및 확률과 같은 수학적 개념을 정리한 포스트이다. 본 문서는 mml을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누군가에게 본 책이나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닌, 내가 모르는 것을 정리하고 참고하기 위함이므로 반드시 원문을 보며 참고하길 추천한다.

Determinant and Trace

Determinant (행렬식)은 수학적 객체로, 해석과 선형 시스템의 해에서 사용된다. 이는 square matrix에서만 정의된다. 본 책에서는 $\text{det}(\boldsymbol A)$ 혹은 $\rvert \boldsymbol A \lvert$로 쓴다. $\boldsymbol A$의 determinant는 어떤 함수로, $\boldsymbol A$를 어떤 실수로 mapping한다.

Theorem 4.1.
어떠한 square matrix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든지 $\boldsymbol A$가 invertible하다는 뜻은 $\text{det}(\boldsymbol A) \neq 0$임과 동치이다.

만일 어떤 square matrix $\boldsymbol T$가 $T _{i, j} = 0$ for $ i > j $이면 upper-triangular matrix라 부른다 (즉 대각행렬 아래로는 모두 0). 이 반대는 lower-triangular matrix라 부른다. triangular matrix $\boldsymbol T \in \mathbb R^{n \times n}$에 대해 행렬식은 대각성분의 곱과 같다.

\[\text{det}(\boldsymbol T) = \prod^n _{i=1} T _{ii} \tag{4.8}\]

또한 행렬식의 개념은 이를 $\mathbb R^n$의 어떤 객체를 spanning하는 n개의 벡터 집합으로부터의 mapping으로 생각하는게 자연스럽다. 곧 밝혀지겠지만 $\text{det}(\boldsymbol A)$는 행렬 $\boldsymbol A$의 columns가 형성하는 n차원의 평행육면체(parallelepiped)의 부호가 있는 부피 (signed volumn)이다.

image

만일 두 벡터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진다면, 이에 따라 평행육면체 (이 경우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줄어든다.

행렬식이 음수를 갖는 것과 행렬식이 부피를 나타낸다는 것이 동시에 이해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이는 orientation과 연관이 있다. 행렬식이 음수를 갖는 것은 plane이 뒤집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부피는 행렬식의 절댓값만큼 증가하고, xy plane이 yx plane으로 뒤집힌다.

image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에 대해 행렬식은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

  • $\text{det}(\boldsymbol A \boldsymbol B) = \text{det}(\boldsymbol A) \text{det}(\boldsymbol B)$
  • $\text{det}(\boldsymbol A) = \text{det}(\boldsymbol A ^\intercal)$
  • $\boldsymbol A$가 regular(invertible)하면, $\text{det}(\boldsymbol A^{-1}) = \frac{1}{\text{det}(\boldsymbol A)}$
  • 두 행렬이 닮음(similarity)이라면, 행렬식도 같다. 따라서, linear mapping $\Phi: V \to V $에 대해 모든 transformation matrix $\boldsymbol A _{\Phi}$는 같은 행렬식을 갖는다. 그러므로 행렬식은 linear mapping의 basis에 invariant하다.
    • Recall: $\boldsymbol{\tilde A} = S^{-1}\boldsymbol{A}S$인 regular matrix $S \in \mathbb R^{n \times n}$가 존재하면, 두 matrix $\boldsymbol{A}, \boldsymbol{\tilde A} \in \mathbb R^{n \times n}$은 서로 similar하다고 한다.
  • 행/열을 여러개 추가하여도 행렬식은 변하지 않는다.
  • $\text{det}(\lambda \boldsymbol A) = \lambda^n \text{det}(\boldsymbol A)$
  • 두 개의 행/열을 바꾸면 행렬식의 부호가 바뀐다.

마지막 3개의 성질로 인해, 가우스 소거법을 사용하여 행렬식을 구할 수 있다.

Theorem 4.3.
정방행렬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의 행렬식이 0이 아닌 것은 $\text{rk}(\boldsymbol A)=n$임과 동치이다. 즉, $\boldsymbol A$의 역행렬이 존재하는 것과 full rank임은 동치이다 (iff).

행렬식은 characteristic polynomial(특성방정식)을 통해 eigenvalue(고유값)와 고유벡터(eigenvector)를 배울 때 유용하다.

Definition 4.4.

정사각 행렬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의 Trace(대각합)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text{tr}(\boldsymbol A) := \sum^n _{i=1} a _{ii} \tag{4.18}\]

trace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한다.

  • $\text{tr}(\boldsymbol A \boldsymbol B) = \text{tr}(\boldsymbol A) + \text{tr}(\boldsymbol B)$ for $\boldsymbol A, \boldsymbol B \in \mathbb R^{n \times n}$
  • $\text{tr}(\alpha \boldsymbol A) = \alpha \text{tr}(\boldsymbol A), \alpha \in \mathbb R$ for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
  • $\text{tr}(\boldsymbol I _n) = n$
  • $\text{tr}(\boldsymbol A \boldsymbol B) = \text{tr}(\boldsymbol B \boldsymbol A)$ for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k}, \boldsymbol B \in \mathbb R^{k \times n}$
  • $\text{tr}(\boldsymbol K \boldsymbol L \boldsymbol A) = \text{tr}(\boldsymbol A \boldsymbol K \boldsymbol L)$ for $\boldsymbol A \in \mathbb R^{a \times k}, \boldsymbol K \in \mathbb R^{k \times l}, \boldsymbol L \in \mathbb R^{l \times a}$
  • $ \text{tr}(\boldsymbol x \boldsymbol y^\intercal) = \text{tr}(\boldsymbol y^\intercal \boldsymbol x) = \boldsymbol y^\intercal \boldsymbol x \in \mathbb R$

선형사상 $\Phi: V \to V $에 대해, 이 사상에 대한 대각합을 이의 행렬 표현의 대각합을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주어진 $V$의 기저에 대해, $\Phi$를 transformation matrix $\boldsymbol A$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이러면 $\Phi$의 대각합은 $\boldsymbol A$의 대각합이 된다. 또 다른 기저에 대해, 적절한 $\boldsymbol S$의 basis change $\boldsymbol S^{-1} \boldsymbol A \boldsymbol S$의 형태를 통해 $\Phi$의 transformation matrix $\boldsymbol B$를 구할 수 있다 (Basis Change 참고). 이는 즉 다음이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text{tr}(\boldsymbol B) = \text{tr}(\boldsymbol S^{-1} \boldsymbol A \boldsymbol S) \stackrel{4.19}{=} \text{tr}(\boldsymbol A \boldsymbol S \boldsymbol S^{-1}) = \text{tr}(\boldsymbol A) \tag{4.21}\]

이를 통해 선형사상의 행렬표현은 기저에 의존적인 반면, 선형사상 $\Phi$의 대각합은 기저에 독립적이다.

여기서 행렬식과 대각합을 정사각 행렬을 기술하는 함수로서 생각할 것이다. 대각합과 행렬식에 대한 이해를 종합하여 이제 다항식 측면에서 행렬 $\boldsymbol A$를 설명하는 중요한 방정식을 정의할 수 있다.

Definition 4.5 (Characteristic Polynomial (특성다항식))

$\lambda \in \mathbb R$과 정사각 행렬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에 대해 다음을 $\boldsymbol A$의 Characteristic Polynomial이라 한다.

\[\begin{align} p _{\boldsymbol A} & := \text{det}(\boldsymbol A - \lambda \boldsymbol I) \tag{4.22a} \\ &= c _0 + c _1 \lambda + c _2 \lambda^2 + \cdots + c _{n-1} \lambda^{n-1} + -1^n \lambda^n \tag{4.22b} \end{align}\]

$c _0 + \cdots + c _{n-1} \in \mathbb R$이다. 위의 값들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begin{align} c _0 = \text{det}(\boldsymbol A), \tag{4.23} \\ c _{n-1} = -1^{n-1} \text{tr}(\boldsymbol A). \tag{4.24} \end{align}\]

Characteristic Polynomial (4.22a)을 통해 eigenvalue와 eigenvector를 계산할 수 있게된다.

즉, 특성다항식의 해는 eigenvalue이다.

Eigenvalues and Eigenvectors

Matrix Representation of Linear Mappings에서 모든 선형사상은 ordered basis에 대해 고유한 transformation matrix가 있다. “Eigen” 분석을 수행하여 선형사상과 이와 관련된 transformation matrix를 해석할 수 있다. 추후 알아보겠지만, 선형 사상의 eigenvalue가 특별한 벡터의 집합이 (eigenvector) 선형사상을 통해 어떻게 변환되는지를 알려준다.

Definition 4.6.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를 정사각 행렬이라 하자. 아래의 식이 성립할 때,

\[\boldsymbol A \boldsymbol x = \lambda \boldsymbol x \tag{4.25}\]

$\lambda \in \mathbb R$을 $\boldsymbol A$의 eigenvalue, $\boldsymbol x \in \mathbb R^n \setminus {0}$을 이에 대응하는 $\boldsymbol A$의 eigenvector라 한다. (4.25)는 eigenvalue equation이라고 부른다.

다음의 명제들은 동치이다.

  • $\lambda$는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의 eigenvalue이다.
  • $\boldsymbol A \boldsymbol x = \lambda \boldsymbol x$ 혹은 $(\boldsymbol A - \lambda \boldsymbol I)\boldsymbol x=0$이 non-trivial solution을 갖으면, $x \in \mathbb R^n \setminus { 0 }$가 존재한다.
  • $\text{rk}(\boldsymbol A - \lambda \boldsymbol I) < n $
  • $\text{det}(\boldsymbol A - \lambda \boldsymbol I) = 0$

Eigenvalue와 eigenvector가 의미하는 것은 결국 어떤 벡터($\boldsymbol x$)를 선형변환($\boldsymbol A$)했을 때, 크기만 변할 뿐 원래벡터($\boldsymbol x$)와 평행한 벡터가 존재하느냐이다. 여기서 eigenvalue는 변한 크기(scaling factor)가 된다.

식 (4.25)를 다시쓰면 $(\boldsymbol A - \lambda) \boldsymbol x = \boldsymbol 0$가 된다. 이를 성립하기 위해서는 non-trivial solution을 갖아야 하고, 즉, 이의 행렬식은 0이 되어야 유의미한 $\lambda$를 찾을 수 있다 (행렬식이 0이 아닐 경우 어떠한 $\lambda$에 대해서도 $\boldsymbol x=0$에 대해서 위가 성립하게 된다.)

Definition 4.7(Collinearity and Codirection).

서로 같은 방향을 가르키고 있는두 벡터는 codirect됐다고 한다. 두 벡터가 서로 같은/반대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면, 이를 두 벡터가 collinear하다고 말한다.

Remark (Non-uniqueness of eigenvectors).

만일 $\boldsymbol A$의 eigenvector가 $\boldsymbol x$라면, 어떠한 $c \in \mathbb R \setminus {0}$에 대해 $c \boldsymbol x$도 똑같은 eigenvalue을 갖는 eigenvector이다. 이는 다음에 의해 만족한다.

\[\boldsymbol A (c \boldsymbol x) = c \boldsymbol A (\boldsymbol x) = c \lambda \boldsymbol x = \lambda c \boldsymbol x \tag{4.26}\]

따라서, $\boldsymbol x$ collinear인 모든 벡터 또한 $\boldsymbol A$의 eigenvector가 된다.

Theorem 4.8. $\lambda \in \mathbb R$가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의 eigenvalue임과, $\lambda$가 $\boldsymbol A$의 특성다항식 $p _{\boldsymbol A}$의 root인 것은 동치이다.

Definition 4.9.

정사각 행렬 $\boldsymbol A$가 eigenvalue $\lambda _i$를 갖는다 하자. $\lambda _i$의 Algebraic multiplicity(기하적 중복도)는 특성다항식에서 근의 갯수이다.

행렬의 고윳값은 특성방정식의 절대값을 0으로 만드는 $\lambda$로 정의된다. 특성방정식은 $\lambda$에 대한 m차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text{det}(\boldsymbol A - \lambda \boldsymbol I)= c _0 + c _1 \lambda + c _2 \lambda^2 + \cdots + c _{n-1} \lambda^{n-1} + -1^n \lambda^n\]

대수학의 기본정리에 의해, 특성방정식은 복소수를 포함하여 m개의 근을 갖는다. 여기서 근이 중근일 경우, 고윳값은 중복을 포함하여 구해지게 된다. 앞서 식을 다시 중근을 포함하여 나타내게 되면,

\[\begin{align} \text{det}(\boldsymbol A - \lambda \boldsymbol I)= c (\lambda - \lambda _1)^{a _1} (\lambda - \lambda _2)^{a _2} \cdots (\lambda - \lambda _k)^{a _k} \\ k \geq n \sum^k _{i=1} a _i = n \end{align}\]

위와 같이 표현했을 때 행렬 $\boldsymbol A$는 서로 다른 $k$개의 고윳값을 가지며, $\lambda _i$는 $a _i$개만큼 중복된다. 이를 고윳값 $\lambda _i$가 대수적 중복도 $a _i$를 갖는다고 정의한다.

출처: 고유값의 대수적 중복도와 기하적 중복도

Definition 4.10 (Eigenspace and Eigenspectrum).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에 대해, eigenvalue $\lambda$와 연관된 모든 eigenvector의 집합은 n차원의 subspace를 span한다. 이는 eigenvalue $\lambda$에 대한 $\boldsymbol A$의 eigenspace(고유공간)이라고 하고 $E _{\lambda}$로 표현한다. $\boldsymbol A$의 고윳값 집합은 eigenspectrum(고유스펙트럼) 혹은 그냥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lambda$가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의 고윳값이면, 이에 대응하는 고유공간 $E _{\lambda}$는 동차시스템 $(\boldsymbol A - \lambda \boldsymbol I) \boldsymbol x = \boldsymbol 0 $의 해공간이 된다. 기하학적으로 이는 선형사상 non-zero eigenvalue에 의해 늘려지는(stretched) 방향을 가르키게 된다. 고윳값은 이 늘려짐의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고윳값이 음수라면, 늘려지는 방향은 뒤집히게 된다.

이는 아래 그림을 확인하면 빠르다.

image

고윳값과 고유벡터에 대한 유용한 특성을 살펴보자.

  • 행렬 $\boldsymbol A$과 이의 transpose는 같은 eigenvalue를 갖지만, 꼭 같은 eigenvector를 갖을 필요는 없다.
  • Eigenspace $E _\lambda$는 $\boldsymbol A - \lambda \boldsymbol I$의 null space이다.

    \[\begin{align} \boldsymbol A \boldsymbol x= \lambda \boldsymbol x & \iff \boldsymbol A \boldsymbol x - \lambda \boldsymbol x = \boldsymbol 0 \tag{4.27a} \\ & \iff (\boldsymbol A - \lambda \boldsymbol I) \boldsymbol x \iff \boldsymbol x \in \text{ker}(\boldsymbol A - \lambda \boldsymbol I) \tag{4.27b} \end{align}\]
  • Similar matrix는 같은 고윳값을 같는다. 따라서 선형 변환 $\Phi$는 이의 transformation matrix의 기저에 상관없이 eigenvalue를 갖는다. 이러한 특성은 eigenvalue를 determinant, trace와 함께 linear mapping의 특성을 나타내는 key parameter로 만들어준다. (basis change에 invariant)
  • symmetric, positive definite matrix는 항상 양의 실수인 eigenvalue를 갖는다.

마지막 성질을 통해 우리는 symmetric, positive definite matrix의 새로운 판별법을 알 수 있다. 이는 또한 다음과 동치이다.

$\boldsymbol Q^{\intercal} = \boldsymbol Q$이면, SPD $\boldsymbol A$에 대해 $\boldsymbol S = \boldsymbol Q \boldsymbol A \boldsymbol Q^{\intercal}$도 SPD이다.

이는 이 둘은 닮음이기 때문에 성립한다.

Definition 4.11.

$\lambda _i$를 정사각 행렬 $\boldsymbol A$의 eigenvalue라 하자. 그러면 eigenvalue의 geometric multiplicity(기하적 중복도)는 eigenvalue에 대응하는 linearly independent eigenector의 갯수가 된다. 즉, 고윳값과 대응하는 eigenvector가 span하는 eigenspace의 차원과도 같다.

Remark. 특정한 고윳값의 geometric multiplicity는 반드시 1이상이 된다. 이는 모든 고윳값에는 최소 하나의 eigenvector가 대응하기 때문이다. 또한, algebraic muliplicity를 초과할 수 없고 이보다 낮다.

행렬 $\boldsymbol A$ 의 고유값 $\lambda _i$ 에 대해 $\boldsymbol x _1, \boldsymbol x _2 \in \mathbb C^m$ 이 행렬방정식 $\boldsymbol A \boldsymbol x= \lambda _i \boldsymbol x$ 의 해가 된다고 두자. 그러면 두 벡터 $\boldsymbol x _1, \boldsymbol x _2$ 는 같은 고유값 $\lambda _i$에 해당하는 고유벡터가 될 것이다. 물론 한 고유값에 대해서 고유벡터는 무한히 존재하긴 한다. 기하학적으로 설명하자면 고유벡터 $\boldsymbol x$ 의 크기를 늘이고 줄인 $\alpha \boldsymbol x$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만일 $\boldsymbol x _1, \boldsymbol x _2$가 수직이라면, 같은 고윳값을 공유하지만 선형독립이기 때문에 서로를 표현할 수가 없다. 다음과 같은 집합을 특정 고윳값 $\lambda _i$에 대응하는 고유벡터의 집합이라 하자. 이의 차원을 구하게 되면 이 차원은 고윳값을 공유하되 서로 수직이 되는 고유벡터의 종류가 된다. 이를 기하적 중복도라 표현한다.

\[S _{\lambda _i} = \{\boldsymbol A \boldsymbol x = \lambda _i \boldsymbol x \}\]

출처: 고유값의 대수적 중복도와 기하적 중복도

Graphical Intuition in Two dimensions

서로다른 선형변환을 이용하는 행렬식, 고윳값, 고유벡터에 대한 직관적 이해를 해보자. 아래 그림들은 5가지 변환행렬 $\boldsymbol A _1, \cdots, \boldsymbol A _5$와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사각형 모양의 데이터에 대한 영향을 표현한 것이다.

$\boldsymbol{A _1} = \begin{bmatrix} \frac{1}{2} & 0 \\ 0 & 2 \end{bmatrix}$. 두 고유벡터의 방향은 canonical basis와 대응한다. 수직축은 $\lambda _1 =2$에 의해 확장되고, 수평축은 $\lambda _2 = 1/2$에 의해 축소된다. 이 변환은 공간을 그대로 유지한다 ($\text{det}(\boldsymbol A _1) = 1 = 2 \cdot 1/2$)

image

$\boldsymbol{A _2} = \begin{bmatrix} 1 & \frac{1}{2} \\ 0 & 1 \end{bmatrix}$는 shearing mapping에 해당한다. 이 변환은 말 그대로 1, 2 사분면은 오른쪽으로 늘리고, 3, 4분면은 반대쪽으로 늘린다. 이 변환 역시 공간을 유지한다. 고유값은 중근으로 1이 된다. 따라서 고유벡터는 collinear하다. 두 고유벡터의 방향은 canonical basis와 대응한다 (아래 그림은 서로 다른 방향을 강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고유벡터를 표현하였다). colinear가 의미하는 것은 이 변환이 한 방향으로만 작용한다는 것이다.

image

$\boldsymbol{A _3} = \begin{bmatrix} cos(\pi/6) & -sin(\pi/6) \\ sin(\pi/6) & cos(\pi/6) \end{bmatrix}$는 점을 반시계 방향으로 30도 회전시키는 rotation matrix이다. 이는 복수수의 고윳값을 갖으며, 이는 이 변환이 단순한 회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유벡터가 없다). 회전변환이기 때문에 넓이를 유지한다.

image

$\boldsymbol{A _4} = \begin{bmatrix} 1 & -1 \\ -1 & 1 \end{bmatrix}$는 2차원 1차원으로 붕괴시키는 변환이다. 하나의 고윳값이 0이므로 이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도 0이된다. 이에 직각인 고유벡터는 $\lambda _2 = 2$만큼 차원을 늘리게된다. 변환 후의 공간은 이 고유벡터가 span하게 되고, 넓이는 0이된다.

image

$\boldsymbol{A _5} = \begin{bmatrix} 1 & 1/2 \\ 1/2 & 1 \end{bmatrix}$는 늘림과 축소를 동시에 진행한다. 행렬식은 $3/4$이기 때문에 넓이가 축소되고, 빨간색 고유벡터 방향으로 $\lambda _2$인 2만큼 늘리고, 이에 직각인 파랑방향으로 0.5만큼 줄인다.

image

Theorem 4.12.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의 서로 다른 n개의 고유벡터 $\boldsymbol x _1, \cdots, \boldsymbol x _n$는 서로 linearly independent하다.

대부분은 $n$개의 선형독립인 고유벡터를 갖는다. 이때는 고윳값의 중복이 없다. 반대로 고윳값이 중복되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고 이 둘이 반드시 linearly dependent하다는 뜻은 아니다.

본 정리가 의미하는 것은 어떤 행렬의 서로다른 n개의 고유벡터는 $\mathbb R^n$차원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Definition 4.13.

정사각 행렬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이 자신의 차원 $n$보다 작은 linearly independent eigenvector를 갖는다면, 이를 defective하다고 말한다.

non-defective matrix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는 반드시 n개의 다른 eigenvalue를 갖을 필요는 없지만, 이의 eigenvector들이 $\mathbb R^n$의 basis를 형성해야 한다. defective matrix의 eigenspace를 살펴보면, eigenspace의 차원의 합이 n보다 작게 된다. 특히, 최소 하나의 대수적 중복도가 $m > 1$이고 기하적 중복도가 $m$보다 작은 eigenvalue $\lambda _i$를 갖는다.

Remark. Defective matrix는 n개의 서로 다른 고윳값을 갖을 수 없다. 서로 다른 eigenvalue는 linearly independent eigenvector를 갖기 때문이다 (Theorem 4.12)

Theorem 4.14.

$\boldsymbol A \in \mathbb R^{m \times n}$에 대해 항상 sysmetric, positive semidefinite matrix $\boldsymbol S \in \mathbb R^{n \times n}$를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boldsymbol S :=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 \tag{4.36}\]

Remark. $\text{rk}(\boldsymbol A) = n$이 성립하면, $\boldsymbol S :=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는 symmetric positive definite하다.

정리 4.14가 어째서 성립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어떻게 symmetrized matrix를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이 필요하다. 대칭이라는 것은 $\boldsymbol S^{\intercal} = \boldsymbol S$가 만족한다는 뜻이고, 식 (4.36)를 통해 $\boldsymbol S =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 =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intercal})^{\intercal} =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intercal} = \boldsymbol S^{\intercal}$를 얻을 수 있다. 또한, positive semidefiniteness가 만족하려면 $\boldsymbol x^\intercal \boldsymbol A \boldsymbol x \geq 0$을 만족해야한다. 이를 (4.36)과 연결시키면, $\boldsymbol x^\intercal \boldsymbol S \boldsymbol x = \boldsymbol x^\intercal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 \boldsymbol x = (\boldsymbol x^\intercal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 \boldsymbol x)=(\boldsymbol A \boldsymbol x)^\intercal (\boldsymbol A \boldsymbol x) \geq 0$를 얻을 수 있다. 이는 dot product가 sum of square를 계산하기 때문에 non-negative가 되기 때문이다.

Theorem 4.15 (Spectral Theorem).

$\boldsymbol A$가 symmetric하면 $\boldsymbol A$의 eigenvector가 이루는 vector space $V$는 orthonormal basis를 갖고, eigenvalue는 실숫값을 갖는다.

Spectral theorem이 의미하는 것은 symmetric matrix의 eigendecomposition이 존재하고 (eigenvalue는 실수), $\boldsymbol A = \boldsymbol P \boldsymbol D \boldsymbol P^{\intercal} $이 되는 eigenvector의 ONB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boldsymbol D$는 diagonal matrix이고, $\boldsymbol P$의 column은 eigenvector를 포함한다.

교윳값과 고유벡터에 관한 내용을 마무리하기전에, 행렬식과 대각합에 대한 개념을 통해 이러한 matrix characteristic을 하나로 연결하고자 한다.

Theorem 4.16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의 행렬식은 이의 고윳값의 곱과도 같다. 즉,

\[\text{det}(\boldsymbol A) = \prod^n _{i=1} \lambda _i \tag{4.42}\]

$\lambda _i \in \mathbb C$인 eigenvalue이다.

Theorem 4.17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의 대각합은 이의 고윳값의 합과도 같다. 즉,

\[\text{det}(\boldsymbol A) = \sum^n _{i=1} \lambda _i \tag{4.43}\]

$\lambda _i \in \mathbb C$인 eigenvalue이다.

이 두 정리에 대해 기하학적인 직관을 더해보자. 어떤 행렬 $\boldsymbol A \in \mathbb R^{2 \times 2}$가 두 개의 linearly independent eigenvector $\boldsymbol x _1, \boldsymbol x _2$를 갖는다고 가정하자. $(\boldsymbol x _1, \boldsymbol x _2)$는 2차원의 ONB라고 가정하여 서로 orthogonal하며 이의 넓이는 1이 된다.

image

앞서 행렬식은 transformation $\boldsymbol A$에 의해 변화하는 넓이라고 언급하였다. 이 예제에서 이 변화하는 넓이를 명시적으로 구할 수 있다.

$\boldsymbol A$를 이용하여 eigenvector를 맵핑하면 다음과 같은 벡터를 얻게 된다: $\boldsymbol v _1 = \boldsymbol A \boldsymbol x _1 = \lambda \boldsymbol x _1 $, $\boldsymbol v _2 = \boldsymbol A \boldsymbol x _2 = \lambda \boldsymbol x _2 $. 이는 새롭게 얻은 vector $\boldsymbol v _i$가 eigenvector $\boldsymbol x _i$를 스케일링 하는 것과 동일하다. $\boldsymbol v _1, \boldsymbol v _2$는 여전히 orthogonal하며, 이들이 span하는 직사각형의 넓이는 $\lambda _1 \lambda _2$가 된다.

$\boldsymbol x _1, \boldsymbol x _2$가 orthonormal하면 이의 둘레를 $2(1+1)$로 계산할 수 있다. $\boldsymbol A$를 이용하여 eigenvector를 맵핑하여 생기는 직사각형의 둘레는 $2(\lvert \lambda _1 \rvert + \lvert \lambda _2 \rvert$)가 된다. 따라서, 고윳값의 절댓값을 더하면 transformation matrix $\boldsymbol A$에 의해 변화하는 둘레가 무엇인지 알 수 있게된다.

Cholesky Decomposition

머신러닝에서 종종 마주치는 특수한 종류의 행렬을 분해하는 방법은 여러 종류가 있다. Symmetric, positive definite matrix에 대해 우리는 제곱근을 이용하여 분해할 수 있다. 이는 Cholesky Decomposition/Cholesky Factorization이라 부른다.

Theorem 4.18 (Cholesky Decomposition)

Symmetric, positive definite matrix $\boldsymbol A$는 두 행렬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boldsymbol A = \boldsymbol L \boldsymbol L^{\intercal}$. $\boldsymbol L$은 lower triangular matrix로, 이의 대각성분은 양수값이 된다.

\[\begin{bmatrix} a _{11} & \cdots & a _{1n} \\ \vdots & \ddots & \vdots \\ a _{n1} & \cdots & a _{nn} \end{bmatrix} = \begin{bmatrix} l _{11} & \cdots & 0 \\ \vdots & \ddots & \vdots \\ l _{n1} & \cdots & l _{nn} \end{bmatrix} = \begin{bmatrix} l _{11} & \cdots & l _{n1} \\ \vdots & \ddots & \vdots \\ 0 & \cdots & l _{nn} \end{bmatrix} \tag{4.44}\]

$\boldsymbol L$은 $\boldsymbol A$의 Cholesky factor라 부르고, $\boldsymbol L$은 유일하다.

Cholesky Decomposition은 머신러닝 기저에서 numerical computation에 대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symmetric positive definite matrix는 빈번하게 사용되는데, multivaraite Gaussian variable에 대한 covaraince matrix (Section 6.5)를 구하는 것이 그 예이다. Cholesky decompostion을 covariance matrix에 적용하면 Gaussian 분포로부터 샘플을 생성할 수 있게된다. 이는 우리로 하여금 확률변수의 linear transformation을 가능케한다. 이는 deep stochastic model에서 gradient를 계산하는데 매우 자주 활용되며, 대표적으로는 variational auto-encoder가 있다.

Cholesky decompostion는 또한 행렬식을 매우 효율적으로 계산하게 해준다. Cholesky decompostion $\boldsymbol A = \boldsymbol L \boldsymbol L^{\intercal}$로부터 $\text{det}(\boldsymbol A) = \text{det}(\boldsymbol L) \text{det}(\boldsymbol L^{\intercal})$임을 알 수 있다. $\boldsymbol L$은 triangular matrix이므로, 이의 행렬식은 단순하게 대각성분을 곱하는 것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text{det}(\boldsymbol A)=\prod _i l^2 _{ii}$가 된다. 많은 수치연산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은 이러한 Cholesky Decomposition를 활용하여 연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한다.

Eigendecomposition and Diagonalization

Diagonal matrix (대각행렬)은 대각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이 모두 0인 행렬을 의미한다. 이를 통하여 행렬식, 제곱, 역행렬 등을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행렬식은 대각성분의 곱을 통해 진행되고, 행렬의 제곱은 각 대각성분을 제곱하는 것으로 얻을 수 있고, 역행렬은 대각성분의 역수를 통해 만들 수 있다.

이 장에서 행렬을 대각 형태로 바꾸는 법을 배우게 될텐데, 이는 basis change와 eigenvalue에 대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앞서 $\boldsymbol P$의 역행렬이 존재하여 $\boldsymbol D = \boldsymbol P^{-1} \boldsymbol A \boldsymbol P$가 성립하면 $\boldsymbol A, \boldsymbol D$는 닮음 행렬이라고 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boldsymbol A$가 대각 행렬 $\boldsymbol D$와 닮았음은 $\boldsymbol D$에 대각 성분에 $\boldsymbol A$의 eigenvalue를 포함하고 있음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if $\boldsymbol A \boldsymbol x = \lambda \boldsymbol x$ then, $(\boldsymbol B \boldsymbol A \boldsymbol B^{-1}) (\boldsymbol B \boldsymbol x) = \boldsymbol B \boldsymbol A \boldsymbol x = \boldsymbol B \lambda \boldsymbol x = \lambda (\boldsymbol B \boldsymbol x)$. 즉, $\boldsymbol A$와 $\boldsymbol B \boldsymbol A \boldsymbol B^{-1}$는 similar이다. 이 관계를 통해 $\boldsymbol B \boldsymbol A \boldsymbol B^{-1}$와 $\boldsymbol A$의 고윳값이 같음을 알 수 있다.

이는 $\boldsymbol A$가 너무커서 특성다항식을 구하기가 어려울 때 쉬운 $\boldsymbol B$를 찾는 것으로 대신 구할 수 있다. 이 때, $\boldsymbol B \boldsymbol A \boldsymbol B^{-1}$는 가능한한 triangular matrix로 만든다. 이의 고윳값은 대각성분을 통해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Definition 4.19 (Diagonalizable).

행렬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가 대각행렬과 닮으면 diagonalizable이라고 한다. 즉, $\boldsymbol D = \boldsymbol P^{-1} \boldsymbol A \boldsymbol P$가 성립하는 $\boldsymbol P \in \mathbb R^{n \times n}$가 존재한다.

다음을 통해 대각행렬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가 똑같은 선형사상에 대해 다른 basis로 표현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는 $\boldsymbol A$의 고유벡터로 이루어진 basis이다.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 $\lambda _1, \cdots, \lambda _n$을 스칼라 집합, $\boldsymbol p _1 , \cdots, \boldsymbol p _n$을 $\mathbb R^n$의 벡터라고 가정하자. 우리는 $\boldsymbol P := [\boldsymbol p _1 , \cdots, \boldsymbol p _n]$이라고 정의하고, $\boldsymbol D \in \mathbb R^{n \times n}$를 대각성분 $\lambda _1, \cdots, \lambda _n$를 갖는 대각행렬이라고 하자. 그러면, 우리는 다음 (4.50)과 $\boldsymbol A$의 고윳값과 고유행렬이 각각 $\lambda _1, \cdots, \lambda _n$, $\boldsymbol p _1 , \cdots, \boldsymbol p _n$임은 동치이다.

\[\boldsymbol A \boldsymbol P = \boldsymbol P \boldsymbol D \tag{4.50}\]

이는 다음을 통해 참임을 확인할 수 있다.

\[\begin{align} & \boldsymbol A \boldsymbol P = \boldsymbol A [\boldsymbol p _1 , \cdots, \boldsymbol p _n] = [\boldsymbol A \boldsymbol p _1 , \cdots, \boldsymbol A \boldsymbol p _n] \tag{4.51} \\ & \boldsymbol P \boldsymbol D = [\boldsymbol p _1 , \cdots, \boldsymbol p _n] \begin{bmatrix} \lambda _1 & & 0 \\ & \ddots & \\ 0 & & \lambda _n \end{bmatrix} = [\lambda _1 \boldsymbol p _1 , \cdots, \lambda _n \boldsymbol p _n] \tag{4.52} \end{align}\]

게다가 (4.50)은 다음을 암시한다.

\[\begin{align} \boldsymbol A \boldsymbol p _1 &= \lambda _1 \boldsymbol p _1 \tag{4.53} \\ & \vdots \\ \boldsymbol A \boldsymbol p _n &= \lambda _n \boldsymbol p _n \tag{4.54} \end{align}\]

따라서 $\boldsymbol P$의 column은 $\boldsymbol A$의 고유벡터가 된다.

대각화에 대한 정의는 $\boldsymbol P \in \mathbb R^{n \times n}$의 역행렬이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boldsymbol P$는 full rank를 갖는다 (Theorem 4.3). 이는 우리로 하여금 $n$개의 선형 독립인 eigenvector $\boldsymbol p _1 , \cdots, \boldsymbol p _n$를 필요로 한다. 즉, $\boldsymbol p _i$는 $\mathbb R^n$의 basis를 이룬다.

Theorem 4.20 (Eigendecomposition).

$\boldsymbol A$의 고유벡터가 $\mathbb R^n$의 basis를 이루는 것과 정사각행렬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이 다음과 같이 분해되는 것은 동치이다.

\[\boldsymbol A = \boldsymbol P \boldsymbol D \boldsymbol P^{-1} \tag{4.55}\]

$\boldsymbol P \in \mathbb R^{n \times n}$이고, $\boldsymbol D$는 대각행렬로, 그 성분이 $\boldsymbol A$의 고유값이 된다.

위 정리는 오직 non-defective matrix만이 대각화가 가능함과, $\boldsymbol P$의 column이 $\boldsymbol A$의 $n$개의 고유벡터임을 내포한다. 대칭행렬에서는 더욱 유용한 결론을 낼 수 있다.

Theorem 4.21. 대칭행렬 $\boldsymbol S \in \mathbb R^{n \times n}$은 항상 대각화가 가능하다.

위 정리는 spectral theorem 4.15로부터 바로 도출된다. 또한 spectral theorem은 $\mathbb R^n$의 eigenvector로 이루어진 ONB를 찾을 수 있음을 말해준다. 이를 통해 $\boldsymbol P$는 orthogonal matrix로 $\boldsymbol P \boldsymbol A \boldsymbol P^{\intercal}$를 만족함을 보일 수 있다.

Remark. 행렬의 Jordan normal form은 defective matrix에 대한 decomposition을 제공하나, 본 책에서 다루는 범위를 벗어나므로 생략한다.

본 책에서 다루지 않는 성질을 이야기해보자. 앞서 배운 기하적 중복도와 대수적 중복도가 같으면 대각화가 가능하다.

  1. Eigenvectors (geometric): There are non-zero solutions to $\boldsymbol A \boldsymbol x = \lambda \boldsymbol x$
  2. Eigenvalues (algebraic): The determinant of $\boldsymbol A - \lambda \boldsymbol I$ is zero
\[\text{algebraic multiplicity} \geq \text{geometric multiplicity}\]

등호는 diagonalizable일 때 성립한다.

Geometric Intuition for the Eigendecomposition

이전과 마찬가지로 eigendecomposition 또한 다음과 같이 기하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boldsymbol A$를 선형변환의 transformation이라 하자. $\boldsymbol P^{-1}$은 표준기저에서 eigenbasis로 기저 변환을 수행한다. 그러면 대각행렬 $\boldsymbol D$는 이 기저 방향으로 eigenvalue만큼 벡터를 스케일링한다. 마지막으로 $\boldsymbol P$는 스케일링한 벡터를 다시 표준기저로 되돌린다.

image

  • 대각행렬 $\boldsymbol D$의 제곱은 쉽게 계산할 수 있다 (대각행렬의 제곱). 그러므로 $\boldsymbol A$의 제곱은 eigenvaluedecomposition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boldsymbol A^k = (\boldsymbol P \boldsymbol D \boldsymbol P^{-1})^k = \boldsymbol P \boldsymbol D^k \boldsymbol P^{-1} \tag{4.62}\]
  • eigendecomposition $\boldsymbol A = \boldsymbol P \boldsymbol D \boldsymbol P^{-1}$이 존재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다음과 같이 효율적인 계산이 가능해진다.

    \[\begin{align} \text{det}(\boldsymbol A) &= \text{det}(\boldsymbol P \boldsymbol D \boldsymbol P^{-1}) = \text{det}(\boldsymbol P) \text{det}(\boldsymbol D) \text{det}(\boldsymbol P^{-1}) \tag{4.63a} \\ &= \text{det}(\boldsymbol D) = \prod _i d _{ii} \tag{4.63b} \end{align}\]

고윳값분해는 정방행렬을 필요로한다. 만일 다양한 행렬에 대해 분해를 적용할 수 있다면 이는 매우 유용할 것이다. 다음에 배울 것이 바로 일반적인 행렬의 분해방법이며, 이는 sigular value decompostion이라 부른다.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행렬의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는 선형대수의 핵심적인 분해 방법이다. 이는 “선형대수의 중요 정리”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정사각행렬뿐만 아니라 모든 행렬에 대해 적용가능하며, 항상 존재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더 살펴보겠지만 추가적으로 $\boldsymbol A$의 SVD는 linear mapping $\Phi: V \to W$를 나타내는데, 이는 두 벡터공간 사이의 기저에 깔린 기하학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Theorem 4.22 (SVD Theorem (특이값분해))

$\boldsymbol A \in \mathbb R^{m \times n}$이 직사각 행렬이라 하고, 이의 랭크가 $r \in [0, min(m, n)]$이라 하자. $\boldsymbol A$의 SVD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분해가 된다.

image

$\boldsymbol U \in \mathbb R^{m \times m}$, $\boldsymbol V \in \mathbb R^{n \times n}$가 orthogonal matrix이다. $\boldsymbol \Sigma \in \mathbb R^{m \times n}$은 $\Sigma _{ii} = \sigma _i \geq 0$이고, $\Sigma _{ij} = 0$이 된다.

대각성분 $\sigma _{i}$는 singular value(특이값)으로, $\boldsymbol U$의 column vector $\boldsymbol u _i$는 left-singular vector, $\boldsymbol V$의 column vector $\boldsymbol v _j$는 right singular vector라 부른다. 관습적으로 singular value들은 순서가 정해져있다. ($\sigma _1 \geq \sigma _2 \geq \sigma _r \geq 0$)

Singular value matrix $\boldsymbol \Sigma$는 유일하고 $\boldsymbol A$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boldsymbol A$가 직사각형일 경우 zero padding이 필요하다.

\[\begin{align} \boldsymbol \Sigma = \begin{bmatrix} \sigma _1 & 0 & 0 \\ 0 & \cdots & 0 \\ 0 & \cdots & \sigma _n \\ 0 & \cdots & 0 \\ \vdots & & \vdots \\ 0 & \cdots & 0 \\ \end{bmatrix} \tag{4.65} \\ \boldsymbol \Sigma = \begin{bmatrix} \sigma _1 & 0 & 0 & 0 & \cdots & 0 \\ 0 & \ddots & 0 & \vdots & & \vdots \\ 0 & 0 & \sigma _m & 0 & \cdots & 0 \\ \end{bmatrix} \tag{4.66} \end{align}\]

Geometric Intuitions for the SVD

SVD는 기하학적인 직관을 제공하여 변환행렬에 특성을 알아볼 수 있게 해준다. SVD를 sequential linear transformation의 형태로 알아볼 것이다.

SVD는 이에 해당하는 선형변환를 세 가지 요소로 분해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넓게 말하면 SVD는 $\boldsymbol V^{\intercal}$을 통한 basis change를 수행하는 것이며, 그후 스케일링과 augmentation을 수행하는 것이다.

image

표준기저 $B, C$에 대한 선형변환 $\Phi: \mathbb R^n \to \mathbb R^m$의 변환행렬을 생각해보자. 또한, 또 다른 기저 $\tilde B$ of $\mathbb R^n$, $\tilde C$ of $\mathbb R^m$도 있다고하자. 그러면,

  1. 행렬 $\boldsymbol V$는 정의역 $\mathbb R^n$에서 $\tilde B$로부터 $B$까지의 기저 변환을 수행한다 (좌상단 그림의 빨간색/오렌지색 벡터 $\boldsymbol v _1, \boldsymbol v _2$). $\boldsymbol V^{\intercal} = \boldsymbol V^{-1}$는 $B$에서 $\tilde B$로의 기저 변환을 수행한다. 빨간색과 오랜지색 벡터가 이제는 기저벡터와 같은 방향으로 정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tilde B$로 바뀐 좌표계에서, $\boldsymbol \Sigma$는 새로운 좌표계를 singular value $\sigma _i$를 통해 스케일한다 (그리고 차원을 더하거나 삭제함). 즉, $\boldsymbol \Sigma$는 $\tilde B$와 $\tilde C$에 대한 transformation matrix $\Phi$이다. 이는 $e _1 - e _2$평면에서 늘려진 빨간색/오랜지색 벡터이고, 3차원에 임베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boldsymbol U$는 공역 $\mathbb R^m$에서, $\tilde C$로부터 $\mathbb R^m$의 표준기저로의 basis change를 수행한다. 이는 빨간색/오랜지색 벡터의 회전으로 표현되어 있다.

SVD는 기저변환을 정의역과 공역 둘 다에서 표현한다. 이는 고유값분해가 같은 벡터공간에서 같은 기저변환을 적용하고 되돌리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SVD를 특별하게 만드는 것은 이러한 두 개의 기저가 특이값 행렬 $\boldsymbol \Sigma$에 읳해 동시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아래 그림은 다음 행렬을 사용한 예제이다.

\[\begin{align} \boldsymbol A & = \begin{bmatrix} 1 & -0.8 \\ 0 & 1 \\ 1 & 0 \end{bmatrix} = \boldsymbol U \boldsymbol \Sigma \boldsymbol V^{\intercal} \tag{4.67a} \\ & = \begin{bmatrix} - 0.79 & 0 & -0.62 \\ 0.38 & -0.78 & -0.49 \\ -0.48 & -0.62 & 0.62 \\ \end{bmatrix} \begin{bmatrix} 1.62 & 0 \\ 0 & 1.0 \\ 0 & 0 \\ \end{bmatrix} \begin{bmatrix} -0.78 & 0.62 \\ -0.62 & -0.78 \\ \end{bmatrix} \tag{4.67b} \end{align}\]

image

행렬 연산은 뒤에서부터 시작하므로 $\boldsymbol V^{\intercal}$를 먼저 보자. 우선 $\boldsymbol V^{\intercal} \in \mathbb R^{2 \times 2}$가 격자 모양의 데이터를 회전시킨다. 그 후 해당 벡터들은 특이값 행렬 $\boldsymbol \Sigma$를 통해 아래 오른쪽 그림과 같이 3차원 위로 옮겨진다. 이때 벡터들은 3차원으로 변환되었지만, plane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마지막으로 $\boldsymbol U$가 해당 벡터들을 오른쪽 위 그림과 같이 3차원 공간안에 존재하도록 변환시켜준다.

Construction of the SVD

이제 SVD가 왜 존재하고 이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살펴보자. 일반적인 행렬의 SVD는 정방행렬의 고윳값 분해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Remark. SPD (Symmetric, Positive Definite) 행렬의 고윳값 분해를 비교해보자.

\[\boldsymbol S = \boldsymbol S^{\intercal} = \boldsymbol P \boldsymbol D \boldsymbol P^{\intercal} \tag{4.68}\]

이에 대응하는 SVD는

\[\boldsymbol S = \boldsymbol U \boldsymbol \Sigma \boldsymbol V^{\intercal} \tag{4.69}\]

만일 다음과 같이 세팅한다면,

\[\boldsymbol U = \boldsymbol P =\boldsymbol V, \boldsymbol D=\boldsymbol \Sigma \tag{4.70}\]

SPD 행렬의 SVD는 이의 고윳값분해와 같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이제 Theorem 4.22 (SVD Theorem)이 왜 성립하고, SVD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살펴보자. SVD를 계산하는 것은 두 개의 orthonomal basis를 찾는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ordered basis를 통해 우리는 ONB를 찾을 수 있다.

먼저 right singular vectors $\boldsymbol v_1, \cdots, \boldsymbol v_n \in \mathbb R^m$의 orthonomal set을 구성하고, left singular vectors $\boldsymbol u_1, \cdots, \boldsymbol u_n \in \mathbb R^n$의 orthonomal set을 구성해보자. 그후에 이 둘을 연결하고, 변환 $\boldsymbol A$ 이후에도 $\boldsymbol v _i$의 orthogonality가 유지됨을 보일 것이다. 이는 상 $\boldsymbol A \boldsymbol v _i$가 orthogonal vector의 집합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리고 이 상을 scalar factor, 즉, singular value를 통해 normalize할 것이다.

Spectral theorem에 의해 대칭행렬의 고윳값은 ONB가 된다. 이를 우리는 대각화할 수 있다. 또한, theorem 4.14를 통해 우리는 항상 symmetric, positive semidefinte 행렬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언제나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를 대각화 할 수 있고 다음을 얻을 수 있다.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 = \boldsymbol P \boldsymbol D \boldsymbol P^{\intercal} = \boldsymbol P \begin{bmatrix} \lambda _1 & \cdots & 0 \\ \vdots & \ddots & \vdots \\ 0 & \cdots & \lambda _n \\ \end{bmatrix} \boldsymbol P^{\intercal} \tag{4.71}\]

$\boldsymbol P$는 orthogonal matrix이고, 이는 orthonormal engenbasis로 이루어져있다. $\lambda _i \geq 0$은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의 고윳값이 된다. 이제 $\boldsymbol A$의 SVD가 존재하고, (4.64)를 (4.71)에 넣어보자.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 = (\boldsymbol U \boldsymbol \Sigma \boldsymbol V^{\intercal})^{\intercal} (\boldsymbol U \boldsymbol \Sigma \boldsymbol V^{\intercal}) = \boldsymbol V \boldsymbol{\Sigma^{\intercal}} \boldsymbol{U^{\intercal}} \boldsymbol U \boldsymbol \Sigma \boldsymbol V^{\intercal} \tag{4.72}\]

여기서 $\boldsymbol U, \boldsymbol V^{\intercal}$는 orthogonal matrix가 된다. 그러므로, $\boldsymbol U \boldsymbol U^{\intercal} =\boldsymbol I $를 이용,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 = \boldsymbol V \boldsymbol{\Sigma^{\intercal}} \boldsymbol \Sigma \boldsymbol V^{\intercal} = \boldsymbol V \boldsymbol V^{\intercal} \tag{4.73}\]

(4.71)과 (4.73)을 비교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begin{align} \boldsymbol{V{\intercal}} = \boldsymbol{P{\intercal}} \tag{4.74} \\ \sigma^2 _{i} = \lambda _i \tag{4.75} \end{align}\]

따라서 $\boldsymbol P$를 이루는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의 고유벡터는 $\boldsymbol A$의 right-singular vectors $\boldsymbol V$가 된다 (4.74 참고).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의 고윳값은 $\boldsymbol{\Sigma}$의 2제곱이 된다 (4.75참고).

left singular vector $\boldsymbol U$를 얻기 위해, 이와 비슷한 과정을 진행한다. 이번엔 $\boldsymbol A \boldsymbol A^{\intercal} \in \mathbb R^{m \times m}$에 대해 SVD를 계산한다.

\[\begin{align*} \boldsymbol A \boldsymbol A^{\intercal} & = (\boldsymbol U \boldsymbol \Sigma \boldsymbol V^{\intercal}) (\boldsymbol U \boldsymbol \Sigma \boldsymbol V^{\intercal})^{\intercal} = \boldsymbol U \boldsymbol \Sigma \boldsymbol V^{\intercal} \boldsymbol V \boldsymbol{\Sigma^{\intercal}} \boldsymbol{U^{\intercal}} \tag{4.76a} \\ & = \boldsymbol{U} \boldsymbol{\Sigma} \boldsymbol{\Sigma^{\intercal}} \boldsymbol{U^{\intercal}} \tag{4.76b} \end{align*}\]

스펙트럼 정리는 $\boldsymbol A \boldsymbol A^{\intercal} = \boldsymbol S \boldsymbol D \boldsymbol S^{\intercal}$가 대각화가 가능하며, 따라서 $\boldsymbol A \boldsymbol A^{\intercal}$에 대한 고유벡터의 ONB가 있음을 말해준다. 이는 $\boldsymbol S$를 통해 찾을 수 있다. $\boldsymbol A \boldsymbol A^{\intercal}$의 orthonormal eigenvector는 left-singular vector $\boldsymbol U$이며, SVD 공역의 orthonormal basis를 형성한다.

이는 우리에게 $\boldsymbol \Sigma$의 구조에 대한 질문을 남긴다. $\boldsymbol A \boldsymbol A^{\intercal}$와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는 똑같은 non-zero eigenvalue를 갖고, $\boldsymbol \Sigma$의 0이 아닌 성분은 $\boldsymbol A \boldsymbol A^{\intercal}$와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에서 똑같기 때문이다.

본 과정들을 통해 $\boldsymbol V$의 right-singular vectors에 대한 orthonormal set을 얻었다. SVD를 끝내기 위해 이를 orthonormal vector $\boldsymbol U$와 연결하자. 이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boldsymbol A$에 대한 $\boldsymbol v _i$의 상은 orthonormal해야된다는 점을 이용하자. 이는 앞서 Angles and Orthogonality에서 배운 것을 활용하면 된다. 우리는 $\boldsymbol A \boldsymbol v _i$와 $\boldsymbol A \boldsymbol v _j$의 inner product를 계산하여 $i \neq j$인 경우에 0을 얻어야만 한다.

\[(\boldsymbol A \boldsymbol v _i)^{\intercal} (\boldsymbol A \boldsymbol v _j) = \boldsymbol v _i^{\intercal}(\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boldsymbol v _j = \boldsymbol v _i^{\intercal}(\lambda _j \boldsymbol v _j) = \lambda _j \boldsymbol v _i^{\intercal} \boldsymbol v _j \tag{4.77}\]

$m \geq r$인 경우에 ${\boldsymbol A \boldsymbol v _1, \cdots, \boldsymbol A \boldsymbol v _r }$가 r차원의 basis라는게 성립한다.

이제 left-singluar vector가 orthonormal임을 보이자. Right-singular vector의 상을 normalize하면,

\[\boldsymbol u _i := \frac{\boldsymbol A \boldsymbol v _i}{\| \boldsymbol A \boldsymbol v _i \|} = \frac{1}{\sqrt{\lambda _i}} \boldsymbol A \boldsymbol v _i = \frac{1}{\sqrt{\sigma _i}} \boldsymbol A \boldsymbol v _i, \tag{4.78}\]

마지막 등식은 (4.75)와 (4.76b)으로부터 얻어진다.

그러므로,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의 eigenvector는 right singular vector $\boldsymbol v _i$가 되고, $\boldsymbol A$에 의한 normalized image인 left singular vector $\boldsymbol u _i$는 특이값 행렬을 통해 연결되는 두 개의 self-consistent ONB를 형성하게 된다.

(4.78)을 재정리하면 우리는 singular value equation을 얻을 수 있다.

\[\boldsymbol A \boldsymbol v _i = \sigma _i \boldsymbol u _i, ~ i = 1, ..., r. \tag{4.79}\]

이 식은 eigenvalue equation (4.25)와 매우 유사하지만, 좌변의 벡터와 우변의 벡터가 서로 다름에 주의하자.

$n < m$인 경우 (4.79)는 $i \leq n$에 대해서 성립하고, $i > n$인 $\boldsymbol u _i$에 대해서는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없지만 구조적으로 orthonormal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대로, $m < n$인 경우 (4.79)는 $i \leq m$인 경우에만 성립한다. $i > m$인 경우 우리는 $\boldsymbol A \boldsymbol v _i = \boldsymbol 0$을 얻게 되고, 여전히 $\boldsymbol v _i$가 orthonormal set을 이룸을 알 수 있다. 이는 $N(\boldsymbol A)$의 orthonormal basis를 SVD가 포함한다는 뜻이다.

$\boldsymbol v _i$를 $\boldsymbol V$의 column으로, $\boldsymbol u _i$를 $\boldsymbol U$의 column으로 concatenation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boldsymbol A \boldsymbol V = \boldsymbol U \boldsymbol \Sigma , \tag{4.80}\]

$\boldsymbol \Sigma$는 $\boldsymbol A$와 같은 차원을 갖고 있고, 행 $1, …, r$에 대해 대각 성분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boldsymbol V^{\intercal}$을 오른쪽에 곱하면 $\boldsymbol A = \boldsymbol U \boldsymbol \Sigma \boldsymbol V^{\intercal}$를 얻게되고, 이는 $\boldsymbol A$의 SVD가 된다.

Eigenvalue Decomposition vs.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고윳값 분해 $\boldsymbol A = \boldsymbol P \boldsymbol D \boldsymbol P^{\intercal}$와 SVD $\boldsymbol A = \boldsymbol U \boldsymbol \Sigma \boldsymbol V^{\intercal}$를 비교해보고, 이들의 핵심 개념을 다시 살펴보자.

  • SVD는 어떠한 행렬에 대해서도 존재한다. 고윳값 분해는 정방행렬에 대해서만 정의되며, $\mathbb R^n$의 고유벡터의 기저가 존재할 경우에만 진행할 수 있다.
  • 고윳값 분해 행렬 $\boldsymbol P$의 벡터는 직교할 필요는 없다. 즉, 기저를 변환시켜도 단순한 회전과 스케일링으로 표현하기가 어렵다. 반면 SVD에서의 $\boldsymbol U$와 $\boldsymbol V$의벡터는 orthonormal하며, 따라서 해당 벡터의 변화로 회전과 스케일링을 나타낼 수 있다.
  • 고윳값 분해와 SVD 모두 다음과 같은 세가지 선형변환으로 구성된다.
    • 정의역의 기저를 바꾸는 행렬
    • 각각의 새로운 기저 벡터를 스케일링하고, 정의역에서 공역으로 맵핑하는 행렬
    • 기저를 공역으로 전환하는 행렬
  • SVD와 고윳값 분해의 가장 큰 차이는 SVD에서는 정의역과 공역이 서로 다른 차원의 벡터공간이라는 것이다.
  • SVD에서 left/right-singular vector matrix는 일반적으로 서로의 역행렬이 아니다 (차원이 다름). 하지만 고윳값 분해는 이 둘이 역행렬관계이다.
  • SVD에서 특이값은 음이 아닌 실수이지만, 고윳값 분해는 그렇지 않다.
  • SVD와 고윳값 분해는 사영을 내릴 때 많은 연관성이 있다.
    • $\boldsymbol A$의 left-singular vector는 $\boldsymbol A \boldsymbol A^{\intercal}$의 고윳값이다.
    • $\boldsymbol A$의 right-singular vector는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의 고윳값이다.
    • $\boldsymbol A$의 non-zero singular value는 $\boldsymbol A \boldsymbol A^{\intercal}$의 non-zero eigenvalue의 제곱근이고,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의 non-zero eigenvalue의 제곱근이다.
  • 대칭행렬에서의 고윳값분해와 SVD는 spectral theorem에 의해 서로 같다.

Matrix Approximation

앞서 SVD가 세개의 행렬로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SVD를 온전히 이용한 분해 대신, $\boldsymbol A$를 간단한 (low-rank) 행렬 $\boldsymbol A _i$의 합으로 표현할 것이다.

rank-1 행렬 $\boldsymbol A _i \in \mathbb R^{m \times n}$을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boldsymbol A _i := \boldsymbol u _i \boldsymbol{v _i}^{\intercal}, \tag{4.90}\]

이는 $\boldsymbol U$와 $\boldsymbol V$의 $i$-th orthogonal column vector의 외적이 된다. 다음 그림은 스톤헨지에 대해 rank-1 행렬을 표현한 것이다.

image

rank $r$을 갖는 행렬 $\boldsymbol A \in \mathbb R^{m \times n}$은 rank-1 행렬 $\boldsymbol A _i$의 합으로 쓸 수 있다.

\[\boldsymbol A = \sum^r _{i=1} \sigma _i \boldsymbol u _i \boldsymbol{v _i}^{\intercal} = \sum^r _{i=1} \sigma _i \boldsymbol A _i \tag{4.91}\]

이는 outer product 행렬 $\boldsymbol A _i$가 $i$-th singular value $\sigma _i$를 통해 weight 된 형태이다. (4.91)이 성립하는 이유는 대각성분의 곱이 이에 해당되는 left/right singular vector $ \boldsymbol u _i \boldsymbol{v _i}^{\intercal}$에만 적용되고, 이를 스케일링하기 때문이다. 모든 $i \neq j$에 대한 $\sum _{ij} \sigma _i \boldsymbol u _i \boldsymbol{v _i}^{\intercal}$ term은 사라지게 되고, $i > r$에 대해서도 이에 해당하는 특이값이 0이기 때문에 사라지게 된다.

앞서 우리는 rank-1 행렬 $\boldsymbol A _i$를 살펴보았는데, 이를 $r$개의 rank-1 행렬을 더함으로써 rank-$r$ 행렬을 얻어보자. 이는 $k < r$까지만 적용하여 rank-k approximation을 얻을 수 있다.

\[\hat{\boldsymbol{A}}(k) := \sum^k _{i=1} \sigma _i \boldsymbol u _i \boldsymbol{v _i}^{\intercal} = \sum^k _{i=1} \sigma _i \boldsymbol A _i \tag{4.92}\]

이의 랭크는 $k$가 된다. 다음 그림은 앞선 그림에 대해서 low-rank approximation $\hat{\boldsymbol{A}}(k)$를 적용한 모습이다.

image

$\boldsymbol A$와 이의 rank-$k$ approximation $\hat{\boldsymbol{A}}(k)$ 사이의 차이 (error)를 측정하기 위해 우리는 norm의 개념이 필요하다.

Definition 4.23 (Spectral Norm of a Matrix)

어떤 $\boldsymbol x \in \mathbb R^n \setminus \{ \boldsymbol 0 \} $에 대해, $\boldsymbol A \in \mathbb R^{m \times n}$의 spectral norm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boldsymbol A \| _2 := \text{max} _{\boldsymbol x} \frac{\| \boldsymbol A \boldsymbol x \| _2 }{\| \boldsymbol x \| _2 }. \tag{4.93}\]

matrix norm 내에 밑첨자에 대한 notation을 처음으로 도입하였는데 (좌변) 이는 벡터의 유클리디안 노름과 비슷하다. Spectral norm (4.93)은 어떤 벡터 $\boldsymbol x$가 $\boldsymbol A$를 곱했을 경우 갖을 수 있는 최대한의 거리를 의미한다.

Theorem 4.24. Spectral norm은 그 행렬의 가장 큰 특이값 $\sigma _i$이다.

Theorem 4.25 (Eckart-Young Theorem (Eckart and Young, 1936)).

$\boldsymbol A \in \mathbb R^{m \times n}$이 rank $r$을 갖고, $\boldsymbol B \in \mathbb R^{m \times n}$가 rank $k$를 갖는다고 하자. 어떤 $k \leq r$인 $\sum^k _{i=1} \sigma _i \boldsymbol u _i \boldsymbol{v _i}^{\intercal}$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lign} \hat{\boldsymbol{A}}(k) := \text{argmin} _{\text{rk}(\boldsymbol B)=k} \| \boldsymbol{A} - \boldsymbol{B} \| _2, \tag{4.94} \\ \| \boldsymbol{A} - \hat{\boldsymbol{A}}(k) \| _2 = \sigma _{k+1} \tag{4.95} \end{align}\]

Eckart-Young theorem은 rank-$k$ approximation을 통해 행렬 $\boldsymbol{A}$를 근사한 값의 오차를 설명한다. SVD를 통해 얻어진 rank-$k$ approximation은 full-rank matrix $\boldsymbol{A}$를 낮은차원(rank-at-most-$k$)으로 사영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가능한 모든 사영에 대해, SVD는 rank-$k$ approximation을 기존 행렬과의 오차를 최소화한다.

(4.95)가 성립하는 이유를 생각해보자. $\boldsymbol{A} - \hat{\boldsymbol{A}}(k)$는 남은 rank-1 행렬의 합으로 이루어져있음을 알 수 있다.

\[\boldsymbol{A} - \hat{\boldsymbol{A}}(k) = \sum^r _{i=k+1} \sigma _i \boldsymbol u _i \boldsymbol{v _i}^\intercal \tag{4.96}\]

Theorem 4.24에 의해 difference matrix의 spectral norm이 $\sigma _{k+1}$임을 즉시 알 수 있다. (4.94)에 대해 더욱 자세히 들여다보자. 만약 다른 행렬 $\boldsymbol{B}$의 차원이 $k$보다 작거나 같다고 해보자.

\[\| \boldsymbol{A} - \boldsymbol{B} \| _2 < \| \boldsymbol{A} - \hat{\boldsymbol{A}}(k) \| _2 \tag{4.97}\]

그러면 최소한 $(n-k)$ 차원의 null space $Z \subseteq \mathbb R^n$이 존재하며, $\boldsymbol x \in Z$는 $\boldsymbol B \boldsymbol x = \boldsymbol 0$임을 의미한다. 이는 다음을 만족하며,

\[\| \boldsymbol{A} - \boldsymbol{x} \| _2 = \| (\boldsymbol{A} - \boldsymbol{B}) \boldsymbol{x} \| _2 \tag{4.98}\]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3.17)을 통해 아래와 같음을 도출할 수 있다.

\[\| \boldsymbol{A} - \boldsymbol{x} \| _2 \leq \| (\boldsymbol{A} - \boldsymbol{B}) \| _2 \| \boldsymbol{x} \| _2 < \sigma _{k+1} \|\boldsymbol x\| _2 \tag{4.99}\]

그러나 $| \boldsymbol{A} - \boldsymbol{x} | _2 \geq \sigma _{k+1} |\boldsymbol x| _2$인 $(k+1)$의 부분공간이 존재하면, 이는 행렬 $ \boldsymbol{A}$의 right-singular vector $ \boldsymbol v _j,~ j \leq k+1$로 span한다. 이러한 두 공간의 차원을 합치면 $n$보다 크게 되는데, 이는 두 공간에 non-zero vector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앞서 살펴본 rank-nullity theorem과 모순된다.

The Eckart-Young theorem는 SVD를 이용하여 rank-$r$ 행렬의 차원을 rank-$k$차원의 행렬로 줄일 수 있음을 말해준다. 행렬의 rank-$k$ approximation은 손실압축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는 머신러닝 분야의 이미지 처리, 노이즈 필터링, ill-posed probability의 정규화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는 Chapter 10의 PCA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된다.

Matrix Phylogeny

image

위 그림은 여태까지 보았던 선형대수의 개념이다. 본 장에서 우리는 행렬과 선형변환에 대한 핵심적인 성질을 살펴보았다. 위 그림은 계통나무로, 서로 다른 형태의 행렬들의 관계를 표현한다.

검은색은 subset을 의미하며, 파랑색은 이를 수행하기 위한 개념을 의미한다.

우리는 모든 real matrix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m}$을 다룬다. 직사각행렬에 대해서는 SVD가 존재한다.

정사각 행렬 $\boldsymbol A \in \mathbb R^{n \times n}$을 살펴보면, 행렬식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지를 알려준다고 했다. 즉, regular, invertible matrix의 클래스에 속하는지를 알 수 있다.

만일 행렬이 non-defective하다면, 고윳값분해가 가능하다 (Theorem 4.12). 중복된 고윳값(중근)은 defective matrix가 되고, 대각화가 불가능하다.

Non-singular, non-defective matrix는 같은 개념이 아니다. 회전행렬은 역행렬이 존재하지만 (행렬식이 0이 아님), 실수에서는 대각화가 불가능하다 (고윳값이 실수임을 보장할 수 없다).

$\boldsymbol A \boldsymbol A^{\intercal} =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 $이 성립하면 $\boldsymbol A$는 normal이다. 또한, $\boldsymbol A \boldsymbol A^{\intercal} = \boldsymbol A^{\intercal} \boldsymbol A = \boldsymbol I $가 성립하면 $\boldsymbol A$는 직교한다 (Definition 3.8). Orthogonal matrix의 집합은 regular matrix의 부분집합이고 $\boldsymbol A^{\intercal} = \boldsymbol A^{-1}$을 만족한다.

Normal matrix는 자주 접하는 부분집합이 있는데, 바로 대칭행렬 $\boldsymbol S \in \mathbb R^{n \times n}$이다. 대칭행렬은 $\boldsymbol S = \boldsymbol S^{\intercal}$을 만족한다. 대칭행렬은 오직 양의 고유값만을 갖는다. 대칭행렬의 부분집합은 positive definite matrix $\boldsymbol P$로, 모든 non-zero vector에 대해 $\boldsymbol x^{\intercal} \boldsymbol P \boldsymbol x$ > 0를 만족한다. 이 경우 유일한 Cholesky decomposition이 존재한다 (Theorem 4.18). Positive definite matrix는 오직 양의 고윳값만을 갖으며, 항상 역행렬이 존재한다 (즉, 행렬식이 0이 아니다).

Positive definite의 다른 부분집합으로는 대각행렬이 있다. 대각행렬은 곱셈과 덧셈에 대해 닫혀있지만 group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역행렬이 가능한 경우에만 성립).

Leave a comment